부산의 역사 및 도시구조

이미지
  부산(釜山)이란 이름이 처음 등장한 것은  조선   성종  초기이며, 이와 관련된 설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. 하나는 현 부산광역시  동구   좌천동 에 소재한  증산(甑山) 에서 유래했다는 증산설 [22] 과, 다른 하나는 현 부산광역시  동구   범일동 에 소재한 자성대에서 유래했다는 자성대설이다. 부산(釜山)이라는 말을 풀이하자면  가마솥을 엎어놓은 모양인 산 이라는 뜻인데, 이 산이 당시 둘 중 어떤 산을 가리키는 말이었는지가 주된 논점이다. 자세한 내용은  여기(PC) 나  여기(모바일) 로. 부산이란 이름이 등장하기 전에는  동래 ,  독로국 ,  거칠산국 , 갑화양곡 등의 여러 지명으로 불렸는데 몇몇 지명은 부산 안의 세부 지명으로 흔적이 남아 있다. 참고로 부산의 순우리말 이름은  가마뫼 로, 일부에서 사용되고 있다. [23] 본래  경상남도  부산시였다가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에 이어 정부 직할시 [24] 로 승격되었으며, 1981년 4월 4일 부산시에서 부산직할시로 개편되었다. [25]  이후 1995년 1월 1일 광역시 제도 도입으로  지방자치제 와 함께 종전의 다른 직할시들과 함께  부산광역시 로 변경되었다. 1925년  진주 에 있었던  경상남도 청이 부산으로 이전한 이후, 1983년  창원 으로 이전하기까지  경상남도청  소재지였던 경남의 중심이기도 했다. 20년 가량 부산 내에  부산광역시청 과  경상남도청 이 함께 존재했던 것. 그래도 2000년대 이전에 경남에 도청이 환원되었으니 [26]  다른 지역보다는 도청 환원이 빨리 이뤄진 것처럼 보이지만 이건 서울과 부산이 일찌감치 도에서 독립하여 생긴 착시 현상일 뿐이다. 사실 도청이 있던 다른 광역시도 광역시 분리독립...